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 및 사용방법 총정리(+사용처)

by 소금빵마을 2025. 7. 18.

올해 여름, 전기세에 4대 보험료까지… 부담이 꽤 크셨죠?
2025년 정부에서는 이런 고정 지출 부담을 덜기 위해 ‘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’을 새롭게 도입했습니다.
최대 50만 원의 카드 포인트로 공과금과 4대 보험을 자동 납부할 수 있는 이 제도, 신청도 간단하고 혜택도 실속 있습니다.

그런데…
“대상은?”, “어디서 신청하죠?”, “어디에 쓸 수 있나요?”
헷갈리신다면 이 글 하나면 충분합니다. 신청부터 사용, 제외업종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드릴게요!

1.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방법

신청 순서

  1. 공식 홈페이지 접속
  2. 공동인증서나 휴대폰 인증 로그인
  3. 매출 및 사업자 등록 여부 자동 조회
  4. 카드 등록(신용·체크·선불카드)
  5. 신청 완료 → 대상자 통보 후 포인트 지급

2. 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방법

  • 사용 기한: 2025년 12월 31일까지 (기한 지나면 자동 소멸)
  • 사용 방식: 등록한 카드에서 공과금, 4대 보험 납부 시 자동 차감
  • 현금 환급 불가
  • 카드 등록 후 변경 불가

💡 Tip: 신청 시 자주 쓰는 카드로 등록하세요!

3.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처

크레딧은 단순한 소비용이 아니라, 정기지출 부담을 줄이기 위한 목적입니다.

  • 공과금: 전기, 수도, 가스 요금
  • 4대 보험: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
  • (지방자치단체 별로 지방세·임대료도 포함될 수 있음)

4.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제외업종

다음 업종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:

  • 유흥·도박·사행성 업종
  • 담배 소매 및 중개업
  • 가상자산(코인 등) 매매 및 중개업
  • 사치성 상품 전문점 등

5.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대상

이 조건에 모두 해당하면 신청 가능!

  • 2024~2025년 연 매출이 0원 초과 ~ 3억 원 이하
  • 2025년 5월 1일 이전에 개업한 사업자
  • 폐업 상태 아님 + 국세청 매출 신고 기준 충족
  • 공동인증서 보유 + 카드 등록 가능

등록 가능 카드사: 신한, 삼성, 국민, 하나, 농협, 롯데, 우리, 현대, BC 등

 
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 바로가기